노트에 메모해 두었던,
개발자 입장에서 좋은 장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을 옮겨 둡니다.
- 실제 장치가 없어도 동작상황을 시뮬레이션해볼 수 있으면 참 좋겠음.
평상시 데이터, 측정데이터, 시뮬레이션 값 발생 메커니즘(생성값)
- Log가 경고 단계별로 체계화될 필요가 있습니다.
경고 Level 지정, 종류별 선택 가능
알람 Log, 주의상황 Log, 추후 분석상황 Log 등
Log 저장체계(분단위, 시간단위, 날짜단위, 월단위, 년단위)
Log파일 저장위치, Log 파일명 등 고려
- Read only ini, 입출력가능 ini 등 용도에 따른 ini 세분화
- 상태처리에서의 안정적 천이. 일정시간 변화없는 것에 대한 처리.
상태 진입후 처음 한번 실행하는 것, 상태 유지시에 매번 처리하는 부분,
확실한 DO 출력을 위한 조치, 에러상황처리(표시,정지,복구,...)
2013-04-24(수)에 메모해둔 내용이었음.
'소소한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abVIEW를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(0) | 2013.08.13 |
---|---|
기사 스크랩하는 용도로 트위터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(0) | 2013.08.07 |
블로그 제목을 변경합니다. "자동화 장비 프로그램 개발자, 허창원의 이야기"로 (0) | 2013.08.01 |
블로그 운영 방향에 대해 아직 고민 중입니다. (0) | 2013.06.07 |
"자동화 소프트웨어 기술" 블로그를 시작합니다 (0) | 2013.05.31 |